본문 바로가기
728x90

방화셔터2

방화셔터 설치기준 방화셔터란? 화재발생시 연기 및 열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폐쇄되는 셔터 [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 제2조(정의) ] 6. "자동방화셔터"란 내화구조로 된 벽을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 화재 시 연기 및 열을 감지하여 자동 폐쇄되는 셔터로서 건축자재등 품질인정기관이 이 기준에 적합하다고 인정한 제품을 말한다. 방화셔터 대상 1. 연면적 1천 제곱미터를 넘는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로로 된 건축물 2. 맞벽건축물의 복도 또는 통로의 연결 부분 [ 건축법 시행령 제46조(방화구획 등의 설치) ] ① 법 제49조제2항 본문에 따라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연면적이 1천 제곱미터를 넘는 것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다음 각 호의 구조물로 구획(이하 “방화구획”이라 한다)을 .. 2024. 1. 14.
방화구획 방화셔터 방화문이란? 방화구획이란?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연면적 1천㎡ 넘는 것은 내화구조로 된 바닥ㆍ벽 및 갑종방화문(자동방화셔터 포함)으로 구획하는 것 방화구획 기준 [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4조(방화구획의 설치기준) ] 1. 방화구획의 면적기준 ①영 제46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방화구획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. 1. 10층 이하의 층은 바닥면적 1천제곱미터(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바닥면적 3천제곱미터)이내마다 구획할 것 2. 매층마다 구획할 것. 다만, 지하 1층에서 지상으로 직접 연결하는 경사로 부위는 제외한다. 3. 11층 이상의 층은 바닥면적 200제곱미터(스프링클러 .. 2024. 1. 7.
728x90